컴파일 방법

1 . 먼저 menu의 project -> clean


2 .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하고 오른쪽버튼을 누르고 run as의 maven install 클릭(maven이 설치되어 있다면)


3 . 서버 재 가동.





logCat에서 +버튼을 누른다


필터 설정

예)

Log.i("_my", str);




안드로이드 라이프 사이클


앱이 최초 실행 됐을 때

1. onCreate(최초 한번만 실행됨)

    l

2. onStart

l

3. onResume(실행상태)


다른 앱이 실행됐을 때

4.onPause

l

5. onStop


다시 해당앱으로 돌아왔을 때

l

6. onRestart

l

다시 2,3으로 진행 (onStart, onResume)



7.onDestroy(프로그램이 종료됐을 때)












'Programming > Android 수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3_10_23_안드로이드프로젝트 기본구성  (0) 2013.10.24

자바 Reflection기능 : 동적으로 클래명을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

Class cc = Class.forName(action_class); //action.BoardListAction

Object c = cc.newInstance();//객체생성

Method m = cc.getDeclaredMethod(method, HttpServletRequest.class,  HttpServletResponse.class );

String result = (String)m.invoke(c, request, response);

'Program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인터페이스 간단 개념  (0) 2013.08.12
열거형 enum 간단 예  (0) 2013.07.25
내부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  (0) 2013.07.25
익명 클래스 예  (0) 2013.07.25
JAVA 배열 기초 예문  (0) 2013.07.19


스프링 메모


- 스프링은 DAO를 알아서 만들어 준다. 물론 싱글턴으로 만든다.

- 객체 생성, 객체 소멸은 스프링이 관리한다. 즉, 객체 관리의 주체가 스프링이 된다.

- 스프링은 myBatis도 DAO도 생성 시켜주며 myBatis와 DAO를간에 조인도 시켜준다.



스프링의 역할

- action, dao, myBatis를 Ojbect(자바에서는 Object를 Bean이라한다)라 하는데, 

스프링에서는 이것을 Spring Bean이라 하며 이들의 객체 생성, 객체간의 관계 설정(DI : Dependency Injection)을 해준다.

이 DI만 보면 객체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.



스프링의 가장 중요한 부분

 -  Spring MVC 구현

 - DI (Dependency Injection) : 의존성 주입 (내용 중 약 80%)

- Construction Injection

- Setter Injection



'Programming > 강의 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VC메모  (0) 2013.10.16
JSP&Servlet 메모  (0) 2013.10.15
스트럿츠2 메모  (0) 2013.10.15
자바 메모  (0) 2013.10.15
이클립스 메모  (0) 2013.10.15


MVC 메모


Controller

-> 요청을 접수

-> 처리객체 선택

-> 처리 결과에 따른 view 선택



'Programming > 강의 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프링 메모  (0) 2013.10.16
JSP&Servlet 메모  (0) 2013.10.15
스트럿츠2 메모  (0) 2013.10.15
자바 메모  (0) 2013.10.15
이클립스 메모  (0) 2013.10.15

+ Recent posts